본문으로 건너뛰기

OSI 참조 모델의 개요

프로토콜 (Protocol)

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정의한 공통의 규칙 서로 호환이 되어야 함 > 언어의 문법과 유사 1980년대 초 여러 가지 전용(Proprietary) 네트워킹 프로토콜들로 인하여 기종이 다른 컴퓨터 시스템들 간의 통신이 안됨

OSI(Open System Interconnection) Reference Model

  • 이기종 컴퓨터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
  • 통신의 전 과정을 7개의 개층으로 분리 > 꼭 7계층일 필요는 없음
  • OSI는 실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개발되지 못하였으며 통신 프로토콜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기준 모델로 사용됨 > reference model
  • [TCP/IP]가 실제적인 표준

OSI 7계층의 구성

  • 네트워크 통신의 전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분리,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고 하나의 네트워크 통신을 완성하도록 함 OSI

    1. 물리 계층: 물리적인 전송로 제공 ( 기차, 항공기, 버스등 지역으로 운반함 )
    2. 데이터 링크 계층: 인접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( 인접 우체국에서 묶음 전달 )
    3. 네트워크 계층: 호스트간의 데이터 전송, 경로설정 ( 목적지 건물의 편지함까지 )
    4. 전송 계층: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간의 전달 ( 주소 내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)
    5. 세션 계층: 네트워크 대화 조정, 동기화 지점 ( 전달 방법 지정 )
    6. 표현 계층: 데이터의 표현을 공통된 형식으로 변환 ( 공통의 언어로 번역 )
    7. 응용 계층: 파일전송, 이메일과 같은 End-user 서비스

계층화 구조와 캡슐화

  1. 계층 구조(Layered arcitecture) 채택
  • 하나의 일만을 수행하기 위해 관련 기능을 모아 그룹화 한 계층화 개념
  • 인접한 하위 계층의 서비스를 이용하고, 바로 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
  1. OSI 모델의 계층 간 상호 작용
  • 중간 노드들은 3계층 까지만 동작
  • 대등-대-대등 프로세스 [peer-to-peer process]
  1. 데이터의 캡슐화[Encapsulation]
  • 각 계층에서의 요구 ㅗ적ㄴ과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[헤더]라는 고유의 제어 정보를 전달 메시지에 추가하여 다음 계층으로 보내는 과정
  • 2계층에서는 오류제어를 위한[트레일러]도 붙임
  1.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(Protocol Data Unit)